본문 바로가기

운전면허 1종 자동 수동 차이점

이익전문가 2024. 12. 4.

1종 보통에도 자동 면허가 추가 되었습니다. 1종보통 면허에도 자동 ,수동의 구분이 생겼다는 말이죠. 그래서 햇갈려 하시는분들이 많아 1종 보통의 자동 수동 차이점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수동 자동 차이점

자동과 수동의 차이는 운전시 기어 변속을 자동으로 해주느냐, 수동으로 조절하느냐의 차이 입니다.

자동 - 오토(자동 변속기)

수동 - 스틱(수동변속기)

 

자동변속기

 

자동은 P, R N D모드가 자동차 내부에 표시되어있고 운전을 할시 자동으로 기어를 변속하는것을 말하며 요즘 대부분의 승용차가 자동으로 출시 됩니다.

 

기존의 기어봉향 을 벗어나 전자식 변속형으로 버튼, 레버, 다이얼 형등의 다양한 모습으로 출시되고 있습니다.

 

 

수동변속기

 

수동은 운전자가 직접 클러치를 밟아 기어를 조작하는것을 말합니다. 보통 기어봉쪽에 R 1~6까지 기어단수의 표시가 표시 되어 있습니다.

 

1종 면허증 종류

✅ 기존

1종보통(수동)

 

✅ 현재

1종보통(자동) 자동변속기 조건부운전면허 (2024년 10월추가)

1종보통(수동)

 

1종보통(자동) 면허가  추가된 이유

기존에는 1종보통 수동 면허 밖에 없어서 1종보통 면허를 따려면 무조건 수동 방식으로 시험을보고 취득해야 했습니다. 이번에 1종보통 자동면허가 추가되었는데 가장 큰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요즘에는 화물차도 자동변속기로 출시되는 자동차가 많아 화물차 운행을 하려는 분들을 위해 번거롭게 1종 수동을 취득해야하는 불편함을 없애고자 비교적 취득이 쉬운 1종 자동면허가 추가 되었습니다.

 

따라서 2종 자동면허를 가지셨던 분들은 이제 1종 자동면허로 전환을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관련글 - 2종 자동 -> 1종자동 전환 방법 

장단점

구분 장점 단점
오토(자동 변속기)
  • 운전 편의성이 높음
  • 정체 구간에서 피로 감소
  • 부드러운 주행
  • 연비가 낮을 수 있음
  • 구매 및 수리 비용이 높음
  • 정교한 제어가 어려움
스틱(수동 변속기)
  • 연료 효율성이 높음
  • 운전의 재미와 제어감 제공
  • 유지 및 수리 비용 절감
  • 운전 피로감 증가
  • 초보자에게 익숙해지기 어려움
  • 재판매 가치가 낮을 수 있음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