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4년 대한민국 중위소득

이익전문가 2024. 6. 10.

중위소득은 대한민국 전체 가구를 소득 순으로 나열했을 때 중간에 위치한 가구의 소득을 의미합니다. 이는 복지 정책의 수립과 대상자 선정을 위한 중요한 지표로 활용됩니다. 중위소득은 사회 전체의 소득 분포를 파악하고, 소득 불평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에 적용됩니다. 특히, 저소득층을 지원하는 복지 정책에서 필수적인 기준이 됩니다.

 

2024년도 기준 중위소득

2024년도 기준 중위소득은 다음과 같이 인상되었습니다. 각 가구원의 수에 따른 중위소득과 그 인상률은 다음 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3년도와 비교해 보았습니다.

 

<2024 기준 중위소득>

가구원 수 2023년도 중위소득 (원) 2024년도 중위소득 (원) 인상률 (%)
1인가구 2,077,892 2,228,445 7.25%
2인가구 3,456,197 3,682,609 6.55%
3인가구 4,443,794 4,714,657 6.10%
4인가구 5,400,964 5,729,913 6.09%
5인가구 6,317,546 6,695,735 5.99%
6인가구 7,213,524 7,618,369 5.62%
7인가구 8,100,368 8,514,994 5.13%

8인이상시 : 1인 증가시 마다 896,625원씩 증가

 

중위소득의 활용

중위소득은 다양한 복지 정책의 대상자 선정 기준으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기초생활보장제도, 주거급여, 교육급여 등의 지원 기준이 중위소득에 기반합니다. 이러한 정책들은 중위소득을 기준으로 저소득층 가구를 선별하여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합니다.

중위소득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은 분들은 아래글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관련글 바로가기

👉 중위소득이란?

 



중위소득은 저소득층 지원 정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공정하고 효율적인 복지 정책을 가능하게 합니다. 2024년도 중위소득 인상으로 인해 더 많은 가구가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저소득층의 생활 수준을 개선하고, 사회적 불평등을 해소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댓글